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의종류2

방정식과 항등식 ■ 목표 - 방정식과 항등식의 의미 알기 등식의 분류 - 방정식과 항등식 "두 식의 관계" 를 기준으로 식을 분류해보면 등식과 부등식으로 나눌 수 있었죠. 이번엔 등식을 조금 더 살펴보려고 합니다. 등식은 말 그대로 등호(=) 를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 는 뜻이죠. 다만, 어떤 두 식을 양 쪽에 놓느냐에 따라 의미와 해석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① 서로 다른 두 식인 경우 왼쪽은 ($x$ 에 대한 2차식), 오른쪽은 ($0$) 딱 봐도 양쪽의 식이 다른데, 등호가 있으니 같아야 합니다. 그래서 왼쪽이 식이 $0$ 이 되기 위해서는 $x$ 는 반드시 $2$ 또는 $3$ 이어야만 합니다. 이렇게 $x$ 가 "특정값일 때만 성립하는 등식" 을 방정식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방정식을 푼다는 것은 등식을 .. 2022. 10. 7.
식의 종류 ■ 목표 - 식의 종류 알아보기 식의 분류1 - 항의 개수 수, 문자로 이루어진 항들이 나열되어 있는 것을 우리는 식이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식에는 항이 하나만 있을 수도, 많이 있을 수도 있죠. 이를 기준으로 식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 항의 개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기 ​ 식의 분류2 - 항의 종류 다항식에서는 "가장 영향력이 큰 항" 에 따라 식의 이름을 정해주기로 했죠. 그래서 이 식은 "$x$ 에 대한 2차식" 이라고 부릅니다. 모든 다항식은 차수에 따라 "~에 대한 $n$ 차식" 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항이 단순하게 $x$ 가 여러 번 곱해진 항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만약, $1/x$ 이런 항이 있다면, 이건 "몇 차 항" 이라고 할 수 없겠죠. 이렇게 $x$ 가 분모에 있.. 2022.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