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렬의 계산2 행렬의 연산2 - 곱셈 ■ 목표 - 행렬의 곱셈원리 이해하기 - 곱셈이 가능한 조건 살펴보기 개요 행렬의 곱셈방법은 덧셈, 뺄셈과는 다르게 굉장히 독특합니다.✨ 그냥 이렇게 계산하면 되지 않을까요? 라고 생각하면 절대 안 됩니다.😓 행렬의 곱셈원리는 어쩌면 행렬의 존재 이유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원래 연립방정식을 좀 더 빠르고 쉽게 풀고 싶어서 탄생한 게 행렬이거든요. 지금은 그 탄생배경이나 원리보다는 곱셈하는 방법만 우선 알아보도록 할게요. 행렬의 곱셈방법 가장 많이 사용되는 (2x2 행렬)의 곱셈에서 성분 하나씩 구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순서대로 앞행렬의 행과 뒷행렬의 열을 성분끼리 곱하면 새로운 성분 하나를 구할 수 있습니다. (1행)과 (1열)을 곱해서 (1행 1열의 성분)을 계산한 모습입니다. (1행) 첫 번째 성분.. 2024. 4. 14. 행렬의 연산1 - 덧셈, 뺄셈, 상수배 ■ 목표 - 행렬의 덧셈, 뺄셈 이해하기 - 행렬의 상수배 이해하기 개요 수학에선 새로운 개념을 배우고 나면, 항상 그걸 계산하는 방법이 따라옵니다.✍🏻 행렬의 연산에서는 "곱셈" 이 아주 독특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선 먼저 '덧셈', '뺄셈' 그리고 숫자와 곱하는 '상수배' 까지만 배워볼 거예요. 행렬의 덧셈과 뺄셈 행렬은 "표" 와 같다고 했죠. 당연히 각 행렬들마다 사이즈도 다르고 그 안의 성분들도 다릅니다. 서로 다른 두 행렬을 더하면 어떻게 될까요?🤔 기존에 알던 덧셈방법으로는 애매모호하죠? 행렬은 행렬만의 연산규칙이 필요합니다. 덧셈, 뺄셈에서는 다음 두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① 같은 사이즈의 행렬끼리만 더한다(뺀다). ② 같은 위치의 성분들끼리 더한다(뺀다). 따라서, 위의.. 2024. 4.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