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이해하기
- 판별식을 이용해 이차함수 위치관계 알기
개요
수학(상)에서 어쩌면 가장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입니다.
이 관계를 이용해서,
때론 이차방정식 문제를 이차함수로 풀기도 하고,
때론 이차함수 문제를 이차방정식으로 풀기도 한답니다.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이차함수 : $y=ax^2+bx+c$
이차방정식 : $ax^2+bx+c=0$
둘은 생긴 모습이 상당히 비슷하죠.
사실 이차함수에서 "$y$ 대신 $0$" 만 넣어주면
이차방정식과 완전히 같아집니다.
이게 어떤 의미일까요?
이차함수에는 무수히 많은 점이 있고,
이 중 $y=0$인 점을 $x$절편이라고 했죠.
그래서, $x$절편을 구하기 위해선
$y=0$을 대입해서 이차방정식을 풀어야 합니다.
즉, $ax^2+bx+c=0$ 을 풀어서 나온 $x$값이 $x$절편인 거죠.
따라서, 이차방정식은 이차함수의 "$x$절편을 구하는 식" 이라고 할 수 있고,
"이차방정식의 근" 이 "이차함수의 $x$절편" 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그래서 이제 이차방정식을 보면
이차함수를 떠올릴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x^2-3x+2=0$ 이라는 이차방정식은
$y=x^2-3x+2$ 와 $x$축($y=0$)의 교점을 구하는 식이구나"
이렇게 말이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과 이차함수
이를 이용하면 우리는 이차함수를 그려보지 않고도
$x$절편의 개수를 금방 알아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차함수의 $x$절편은
$y=0$ 을 대입한 이차방정식의 근과 같고,
근의 개수는 판별식으로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죠.
$D>0$이면, 근이 $2$개 → $x$절편이 $2$개
$D=0$이면, 근이 $1$개 → $x$절편이 $1$개
$D<0$이면, 근이 $0$개 → $x$절편이 $0$개
$x$절편의 개수에 따라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과 어떻게 만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이차함수와 $x$축의 위치관계라고 합니다.
위치관계는 3가지의 경우가 있고, 각각을
① 두 점에서 만난다
② 한 점에서 접한다
③ 만나지 않는다
라고 표현합니다.
■ 판별식을 통한 이차함수와 $x$축의 위치관계
마무리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 사이에는
확실히 긴밀한 관계가 있는 것 같죠?
두 개념을 연결하면,
어떤 문제를 풀 때 더 넓은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게 된답니다.
'공통수학1 [고1] > 6. 이차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함수의 최대최소 (2) | 2023.11.04 |
---|---|
이차함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 (0) | 2023.10.22 |
이차함수의 일반형 (0) | 2023.09.10 |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0) | 2023.09.07 |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점 (0) | 2023.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