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 변수와 상수가 구분되는 경우

문자들도 일반적으로는 용도가 조금씩 다릅니다.
미지수를 나타낼 때는 주로
상수를 나타낼 때는 주로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이 고정관념을 깨는 게 유용할 때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렇습니다.
■ 8번 공식

그래서 여기에서도 항은 4개이지만,
이 식을
그래서 동류항인
■ 9번 공식

사실 위의 공식과 원리가 똑같아서
"곱셈공식"으로서의 의미는 크게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 두 공식은 우리가 "인수분해"를 하면서
이미 굉장히 많이 접했을 것입니다.
외우기보단 많이 써보는게 훨씬 좋겠죠.
■ 10번 공식

결과를 보면
그 사실만으로도 활용도가 높습니다.
만약 여기서
이제
여기서도 결과가 중요하네요.
결과로 나온
7번 공식에서도 봤던, 세 수
마무리
세번째 유형의 원리도 여기까지!
반응형
'공통수학1 [고1] > 1. 다항식의 연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스칼의 삼각형 [심화] (0) | 2022.09.23 |
---|---|
곱셈공식의 변형 (1) | 2022.09.23 |
곱셈공식 원리(2/3) B. 동류항이 소거되는 경우 (2) | 2022.09.23 |
곱셈공식 원리(1/3) A. 동류항이 합쳐지는 경우 (0) | 2022.09.23 |
곱셈공식 (0) | 2022.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