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통수학1 [고1]/4. 복소수

수 체계의 확장

by Hamston 2023. 3. 27.
반응형

 목표

- 수 체계의 확장

- 수 집합의 포함관계

 

 

수 체계의 확장 썸네일

 

 

 

수 체계의 확장

 

수 체계(Number System)는 우리가 배워온 모든 숫자들이

어떤 성질들을 가지는지, 어떤 연산이 가능한지 등을 연구한 것이에요.

그 과정에서 새로운 숫자를 발견하게 됩니다.

 

 

그 발견의 역사를 간단하게 살펴볼까요?

 


 

자연수(Natural Number)

$1, 2, 3, …$ 등

우리가 가장 처음 알고 있던 수입니다.

귤이 3개 있는 걸 보고,  $3$ 이라는 숫자를 떠올릴 수 있듯

실생활에서 가장 먼저 접할 수 있는 수입니다.

 

 

이제 자연수를 가지고  $+, -$ 을 해봅니다.

$2+x=3$    $∴ x=1$

$2+x=2$    $∴ x=2-2=?$

$2+x=1$    $∴ x=1-2=?$

 

 

바로 문제가 생기죠.

자연수는 뺄셈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즉, 자연수에서 자연수를 뺀 수가 자연수에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0$,  $-1$ 등의 수를 모두 포함한

정수라는 수 체계로 범위를 확장합니다.

 


 

 정수(Integer)

정수는 우리가 알고 있던 모든 자연수인  $n=1, 2, 3, …$

그 자연수에  $-$ 를 붙인  $-n=-1, -2, -3, …$

그리고  $0$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수의 분류

 

 

이제 정수는 $+, -$ 에 대해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times, \div$ 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았죠.

$2\times x=4$    $∴ x=2$

$2\times x=2$    $∴ x=1$

$2\times x=1$    $∴ x=1\div2=?$

 

 

$1$ 이라는 수가 반으로 나눠진다는 건 생각도 안 해봤습니다.

하지만, 분명 존재하는 수이죠.

이 수를 앞으로  $0.5$ 처럼 소수 혹은  $\frac{1}{2}$ 처럼 분수로 표현하기로 합니다.

 

 

이렇게 나누기가 가능한 모든 수를 포함해서

유리수로 확장합니다.

 


 

유리수(Rational Number)

이제 모든 수는 분수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정수는 분모가  $1$ 인 분수($1=\frac{1}{1}$, $2=\frac{2}{1}$ 등)이고,

정수가 아니라면 분모가  $1$ 이 아닌 분수입니다.

 

 

유리수의 분류

 

 

드디어 유리수는 사칙연산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었습니다.

즉, 유리수를 가지고 아무리  $+, -, \times, \div$ 해보아도

유리수만 나옵니다.

 

 

이젠 거듭제곱입니다.

같은 수를 두 번 곱하는 것뿐이니 별 문제가 없을 줄 알았습니다.

 

 

$x^2=4$    $∴ x=±2$

$x^2=2$    $∴ x=?$

 

 

같은 수를 두 번 곱해서 2가 되는 수.

솔직히 찾으려면 찾을 수는 있습니다. $x=±1.414213…$

하지만, 이 수의 소수 부분엔 규칙이 없어서 무한히 써야만 했죠.

그래서,  제곱근(Root)이라는 기호를 도입해서  $x=±\sqrt{2}$ 이렇게 표현하기로 합니다.

 

 

모든 분수인 유리수는 소수로 나타내었을 때,

유한소수이거나 순환하는 무한소수 즉, 순환소수가 됩니다.

 

 

하지만,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 들은 분수꼴로 나타내지 못합니다.

즉, 이 수들을 "무리수(Irrational Number)" 라고 하고,

이를 포함해서 실수로 확장합니다.

 


 

실수(Real Number)

이제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수를 거의 다 찾아냈다고 할 만합니다.

우리는 수의 대소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수직선을 활용하는데,

 

 

수직선

 

 

정수와 정수 사이의 많은 빈 공간에

 

 

수직선 위의 유리수와 무리수

 

 

수도 없이 많은 유리수무리수가 꽉 채워지면서

수직선을 빈틈없이 메울 수 있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해결하지 못한 한 가지 문제가 남아있었습니다.

 

 

제곱해서 -1이 되는 수

 

 

과연 제곱해서  $-1$ 이 되는 숫자는 존재하는가?

 

 

사실 이것만큼은 누구도 건드리고 싶지 않았습니다.

$(-1) \times (-1)=1$ 이 되는 것처럼

음수를 두 개 곱하면 양수가 되는 게 당연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방정식을 풀 때마다 계속해서 등장하는 이런

"제곱해서 음수가 되는 수" 들을 "허수(Imaginary Number)" 라는 이름으로

결국은 받아들이기로 합니다.

 

 

허수의 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허수인 $\sqrt{-1}$ 을

"$i$" 라는 기호로 표현하고, "허수단위" 라고 부릅니다.

 

 

이를 이용하면,

$\sqrt{-4}=\sqrt{4} \times \sqrt{-1}=2i$

$\sqrt{-5}=\sqrt{5} \times \sqrt{-1}=\sqrt{5}i$

이렇게 모든 허수를  "$i$" 로 표현할 수 있죠.

 

 

이 허수를 포함해서 수는 복소수로 확장됩니다.

그리고 드디어 복소수에서는 문제없이 모든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확장 없이 마무리가 됩니다.

 

 

 

수 집합의 포함관계

 

집합이란 용어는 원래 고1-2학기 과정인 수(하)에서 제대로 배우겠지만,

간단히 "모든 숫자들을 모아놓은 그룹"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보통 집합들은 영어 대문자인 A, B 등으로 표현하는데,

수의 집합들은 특별히 정해진 고유문자로 표현합니다.

 

 

자연수를 모두 모아놓은 집합은

Natural Number 의 N으로 표현합니다.

 

 

정수는 영어로는 Integer 이지만 혼동을 피하기 위해,

독일어인 Zahlen 에서 따온 Z를 사용합니다.

 

 

유리수도 영어로는 Rational Number 이지만,

나눗셈에서 등장하는 몫(Quotient) 에서 따온 Q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실수Real Number 의 R

복소수Complex Number 의 C

이렇게 표현합니다.

 

 

지금까지 배운 수들의 포함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 집합의 포함관계

 

 

"어떤 수 집합이 어떤 수 집합 안에 포함되는지" 를

더 쉽게 보는 방법은 그림으로 그려보는 것이죠.

 

 

수 집합의 포함관계
수 집합의 포함관계

 

 

예를 들어,

$0$ 의 경우, 정수이고 유리수, 실수, 복소수이다 모두 맞는 말이지만,

자연수이다는 틀린 말이죠.

자연수의 집합에 포함되지는 않는 수이니까요.

 

 

 

마무리

 

여기까지 허수를 발견하고

복소수까지 확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봤어요.

다음엔 본격적으로 복소수의 성질에 대한 얘기를 해볼게요!

 

반응형

'공통수학1 [고1] > 4. 복소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을 만족하는 복소수 찾기  (0) 2023.05.01
음수의 제곱근  (0) 2023.04.23
켤레복소수의 정의와 성질  (2) 2023.04.16
복소수의 사칙연산과 거듭제곱  (0) 2023.04.08
복소수(Complex Number)  (0) 2023.04.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