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
- 근이 변하면 식은 어떻게 바뀔까?
-

개요
지난 시간에
<참고> 이차방정식의 작성
이차방정식의 작성
■ 목표 - 인수정리 이용하기 - 근과 계수의 관계 이용하기 개요 이차방정식의 작성 유형은 조건에 맞는 '이차방정식을 찾아내는 것' 이 목표입니다. 직접 근을 알려주거나, 근에 대한 정보를 주
indv-wrappedmath.tistory.com
그런데 단순히, 근이
식 찾는 건 왜 이렇게 힘들까요?
일일이 근과 계수의 관계를 써야만 하는 걸까요?
그래서 이번엔
근이 변형되었을 때, 식은 어떻게 바뀌는 지를 살펴볼까 해요.
근이 변하면 식은 어떻게 바뀔까?
첫 번째는 근에 어떤 상수가 "더해진 경우" 입니다.

먼저,
그리고 우리가 찾고 싶은 식의 근은
이는 잘 생각해 보면
식으로 표현하면,
즉, 원래 있던 이차방정식에
우리가 찾고 싶었던
즉,
이번엔 어떤 상수가 "곱해진 경우"입니다.

아까와 마찬가지로
따라서, 우리가 찾는 식은
즉, 원래 식에서
위의 두 가지 내용을 종합하면
근이 아무리 이상하게 변하더라도,
원래 식을 이용해서 새로운 식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 근이 변형된 이차방정식의 작성


과 의 관계
지금까지 쭉 살펴보니
"
따라서,
그래서 안쪽의
이렇게 되죠.
즉,
근은
■ 과 의 관계

마무리
꽤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실제로 문제에서 어렵게 출제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이해하면 확실하게 큰 힘이 되는
중요한 내용이랍니다.
'공통수학1 [고1] > 5. 이차방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 (0) | 2023.08.26 |
---|---|
이차방정식과 나머지정리 (0) | 2023.08.19 |
이차방정식의 작성 (0) | 2023.08.12 |
특정 식의 값 구하기 (0) | 2023.08.06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0) | 2023.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