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통수학1 [고1]/5.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

by Hamston 2023. 8. 26.
반응형

 목표

- 계수가 유리수, 한 근이 무리수인 경우 나머지 한 근은?

- 계수가 실수, 한 근이 허수인 경우 나머지 한 근은?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 썸네일

 

 

 

개요

 

이차방정식의 마지막 성질은 바로

켤레근의 성질입니다.

이 한 켤레가 된다는 뜻이죠.

 

 

켤레라는 단어는

복소수 단원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참고> 켤레복소수

 

켤레복소수의 정의와 성질

■ 목표 - 켤레복소수의 정의 - 켤레복소수의 성질 켤레복소수 켤레라는 단어 자체는 많이 들어봤을 거예요. 신발 한 켤레, 양말 한 켤레. 켤레복소수란 주어진 어떤 복소수의 나머지 한 짝을 말

indv-wrappedmath.tistory.com

 

 

어떤 두 복소수가 켤레라면

덧셈($+$)과 곱셈($\times$)의 계산 결과가 단순해졌죠.

$1+i$ 와  $1-i$ 처럼요.

 


 

근의 공식을 통해 두 근을 잘 살펴볼까요?

 

$$x=\frac{-b + \sqrt{b^2 - 4ac}} {2a},\; \frac{-b - \sqrt{b^2 - 4ac}} {2a}$$

 

거의 똑같이 생겼지만, 루트 앞의 부호만 다르죠.

 

 

그래서 생긴 걸 보면 두 근이 언제나 켤레 관계일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습니다.

 

 

$2$ 와  $3$ 을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처럼

아닌 경우도 많죠.

 

 

그래서 이번엔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켤레 관계가 되는

두 가지 상황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A. 계수가 유리수, 한 근은 무리수인 경우

 

첫 번째 상황은

다음 두 가지 조건이 주어진 경우입니다.

 

 

① 이차방정식의 계수가 모두 유리수이다.

② 한 무리수이다.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


예시1

예시문제1

 

① $a$,  $b$ 가 유리수이므로,

"계수가 모두 유리수" 인 이차방정식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근과 계수의 관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두 근의 합도  $-a$ 이므로 유리수,

두 근의 곱도  $b$ 이므로 유리수라는 사실이죠.

 

 

② 하지만 한 근이 무리수입니다.

즉, 나머지 한 근은 다음 두 식을 만족해야만 하죠.

$(2-\sqrt2)+(\qquad)$ : 유리수

$(2-\sqrt2)\times(\qquad)$ : 유리수

 

 

우선, 더해서 루트가 사라지려면

반드시  $a+\sqrt2$ 처럼 되어야 합니다.

$(2-\sqrt2)+(a+\sqrt2)=2+a$ : 유리수

 

 

그리고 곱해서 루트가 사라지려면

$a=2$ 여야만 하죠.

$(2-\sqrt2)\times(2+\sqrt2)=4$$+2\sqrt2-2\sqrt2$$-2=2$

 

 

따라서, 두 근은  $2-\sqrt2$ 와  $2+\sqrt2$

즉, 켤레 관계가 됩니다.

 


 예시2

예시문제2

 

위 문제와 똑같아 보이지만,

"$a$ 와  $b$ 가 유리수" 라는 조건이 없습니다.

 

 

과연 이때에도 나머지 한 근이  $2+\sqrt2$ 일까요?

사실 이 때는 나머지 한 근이 딱 정해지지 않습니다.

 

 

만약, 두 근이  $2-\sqrt2$ 와  $1$ 이라고 하면,

두 근의 합은  $3-\sqrt2$

두 근의 곱은  $2-\sqrt2$

따라서,  $x^2-(3-\sqrt2)x+(2-\sqrt2)=0$ 이라는 이차방정식을 만들 수 있죠.

 

 

계수가 얼마든지 복잡한 수가 될 수 있다면,

근도 아무거나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 A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1

 

 

B. 계수가 실수, 한 근은 복소수인 경우

 

두 번째 상황은

다음 두 가지 조건이 주어진 경우입니다.

 

 

① 이차방정식의 계수가 모두 실수이다.

② 한  허수이다.

 

 

마찬가지로 예시를 통해 간단하게 살펴보죠.


 예시

 

① $a$,  $b$ 가 실수이므로,

이번엔 두 근의 합두 근의 곱이 모두 실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② 하지만, 한 허수인  $1+i$ 이므로,

나머지 한 근은 더하거나 곱해도 무조건 실수가 되는

켤레복소수여야 합니다.

 

 

즉, 두 근은  $1+i$ 와  $1-i$ 가 될 수밖에 없죠.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 B

이차방정식의 켤레근의 성질2

 

 

마무리

 

여기까지가 수학(상)에서 배우는

이차방정식의 전부입니다.

 

풀이가 간단한 만큼, 풀이보다는

근의 공식을 이용한 여러 성질들을 익히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했죠.

 

다음은 새로운 단원으로

이차함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