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표
- 인수정리 이용하기
- 근과 계수의 관계 이용하기

개요
이차방정식의 작성 유형은
조건에 맞는 '이차방정식을 찾아내는 것' 이 목표입니다.
직접 근을 알려주거나,
근에 대한 정보를 주기도 하죠.
인수정리 이용
첫번째로 두 근을 직접 알려주는 경우입니다.
가장 간단하죠.
만약, 어떤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이 식은
인수정리에서 배운 내용이죠.
<참고> 인수정리
인수정리
■ 목표 - 인수 vs 약수 - 인수정리 이해하기 인수 vs 약수 "소인수분해", "인수분해" 뭔가 자연스럽게 사용은 하고 있었지만 인수가 정확히 뭘까요? 인수(Factor)는 약수(Divisor)와 비슷한 단어이긴 합
indv-wrappedmath.tistory.com
그리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 이차방정식은
즉,
■ 인수정리를 이용한 이차방정식의 작성

근과 계수의 관계 이용
두 번째는 두 근이 아니라,
근에 대한 식의 값을 알려주는 경우입니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두 근을
이렇게 두 근의 합과 두 근의 곱을 알려주는 경우입니다.
대놓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라는 문제죠.
<참고> 근과 계수의 관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목표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 근과 계수의 관계 증명 개요 우리는 판별식에 이어 근을 구하지 않고도, 이차방정식의 중요한 성질들을 알아내는 방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이차방정
indv-wrappedmath.tistory.com
만약,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 이차방정식은
최고차항의 계수가
그냥
■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 이차방정식의 작성

자 이 유형은 조금 더 발전해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대한 힌트를 숨기기도 합니다.
한번 예시를 볼까요?
■ 예시

① 근과 계수의 관계
첫 번째 식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해,
② 새로운 두 근의 합과 곱 구하기
1) 두 근의 합
2) 두 근의 곱
③ 이차방정식 작성하기
즉,
이처럼 조금 변형된 근을 가진 이차방정식도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해 찾아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엔 이차방정식에서 정보를 찾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이용해 이차방정식을 찾는 유형을 살펴봤어요.
기존의 알던 지식을 거꾸로 생각해 보는 것은
아주 중요한 사고능력이죠.
여기까지!
'공통수학1 [고1] > 5. 이차방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방정식과 나머지정리 (0) | 2023.08.19 |
---|---|
이차방정식의 근과 식의 변형 (0) | 2023.08.13 |
특정 식의 값 구하기 (0) | 2023.08.06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0) | 2023.08.05 |
이차식의 인수분해 (0) | 2023.07.29 |
댓글